티스토리 뷰

목차



    갑자기 부모님 지역가입자 건강보험 고지서 받아보셨나요?
    피부양자 자격조건에 맞는다면 부모님의 지역보험료는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오늘은 달라진 2025년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요건을 표와 함께 정리해 드릴게요.

     

     

     

    직장-건강보험-가입자-피부양자-자격요건

     

     

     

     

     

     

     

     

     

     

     

     

     

    건강보험 피부양자란?

    직장가입자의 가족이 일정 기준을 충족할 경우 건강보험료를 별도로 납부하지 않고 직장인의 보험에 편입되는 제도예요.

     

     

     

    무조건 되는 건 아니고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가능해요!

     

     

     

     

     

    2025년 피부양자 자격요건 요약표

     

    📌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조건 요약 (2025)
    소득 요건
    (① + ② 모두 충족)
    ① 소득금액: 근로/사업/연금/이자/배당/기타소득 포함 합산 연간 2,000만원 이하
    ② 사업소득:
    - 사업자 등록증 있음: 사업소득 없어야 함
    - 사업자 등록증 없음: 사업소득 연 500만원 이하
    - 주택임대 사업소득 있는 경우, 등록 여부 관계없이 자격 박탈
    ※ 사적연금, 퇴직소득, 양도소득은 합산 제외
    재산 요건
    (① 또는 ② 중 하나 충족)
    ① 재산세 과세표준 합: 5억 4천만원 이하
    ② 재산 + 소득 요건:
    - 재산세 과세표준 9억원 이하 & 연간 소득 합계 1천만원 이하
    ※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주택 60%, 비주택 70%)
    부양 요건 - 직장가입자의 배우자, 직계존속·직계비속 및 배우자의 직계비속 포함
    - 미혼 형제자매 중 65세 이상, 30세 미만, 장애인, 국가유공자, 보훈보상대상자 등

     

     

    ※ 기준 초과 시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어 건강보험료 부과됨

     

     

     

     

     

    신청 놓쳐서 지역보험료 나왔다면? 해결방법

    저처럼 피부양자 직접 신청을 놓쳐서 부모님 지역보험료 고지서가 왔다면?

     

     

     

    부모님 피부양자 신청은 가족의 직장건강보험 가입자가 직접 신청을 해야만 해요. 피부양자로 승인되면 지역보험료 납부금액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직접 건강보험공단에 전화해서 알아본 후기와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직장-건강보험-가입자-피부양자-자격요건

     

     

     

     

     

    자주 묻는 피부양자 조건 팁

     

    ✔부모님이 임대수익이 있으면 등록/미등록 여부도 중요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은 사업소득 예외 범위 확대

     

     

    ✔사업자등록 없이 수입이 있으면 꼭 500만 원 넘는지 확인

     

     

    ✔재산 기준은 공시지가 ×공정시장가액비율로 계산됨

     

     

    📌 참고: 주택은 60%, 주택 외 재산은 70% 적용

     

     

     

     

     

    관련 시리즈글 함께 보기


    👉 2025 건강보험 피부양자 신청 후기 보러 가기

    직장-건강보험-가입자-피부양자-자격요건

     

     

     

    👉 건강보험 피부양자 신청 늦으면 지역보험료 납부해야 하나요?

    직장-건강보험-가입자-피부양자-자격요건